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기력증

by 바비씨 2020. 10. 10.
반응형

#무기력증자가진단 #무기력증테스트 #무기력증 극복

 

바쁜 현대인들 사이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 '무기력증'입니다. 무기력증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을 텐데요. 간단히 진단하는 무기력증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 보고 심각 단계라면 가까운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무기력증' 이란 식욕이 없고 무언가 하려는 의욕이 없으며 모든 일에 회의감을 느끼며 몸이 피로하여 쳐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무것도 하기 싫고 누워만 싶고 귀찮아서 잠만 자고 싶은 증상이 들면 무기력증을 의심해야 하는데요.

 

 

 

정신의학과에서는 병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심각단계에 가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요. 본인이 자각했다면  나의 생활과 연관되어 있고 삶의 질이 상당히 저하되기 때문에 의욕적이고 활발한 생활로 돌아가기 위해 그리고  본인과 가족 모두를 위해 극복해야 합니다.

 

 

 

 

 

 

 

다음은 자가진단 테스트 목록입니다. 

최근 3개월 이내 겪은 내용 중 해당되는 것이 몇 개 인지 선택해 보자.

 

 

 

*정신이 맑지 않고 멍한 느낌이다.

*일이 끝난 뒤 어떠한 의욕도 생기지 않는다.

*좋아하던 것도 재미 또는 관심이 없다.

*집중력이 흐려졌다.

*기억력이 저하됐다.

*휴식 후에도 피곤하며 자고 일어나면 더 무기력하다.

*계획만 하고 실행이 안되며 무기력하다.

*어딘가 가고 싶지만 귀찮아서 가지 않는다.

*수면장애가 일어나는 것 같다

*기분이 좋았다가 나빴다가 기복이 생겼다.

*머리가 자주 아프다

*밥맛이 없거나 몰아서 많이 먹는다.

*모든일을 나쁜 게 생각한다.

*감정 제어가 안돼 화가 난다.

*왜 사는지 모르겠다.

* 늘 몸이 피곤하고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총 16개 문항 중에 해당되는 문항의 개수가

 

5개 이하는 정상이고 5~6개면 주의 단계이며 8~9개면 심리상담 필요합니다.  11~13개는 위험 단계라 인지 후 극복하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14개 이상이면 전문 의료기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무기력증에 도움이 되는 극복 방법

 

첫째, 신선한 과일과 채소로 만든 균형 잡힌 식단 

둘째, 적당한 수면시간

셋째, 매일 꾸준한 운동

넷째, 여행

다섯째, 가만히 혼자 있지 말고 밖으로 나가기

 

* 요가나 필라테스 등 스트레칭 운동도 좋고 텔레비전 또는 스마트폰을 오래 하지 않는다.

 

 

 

 

 

 

극복이 힘들다면 심리상담이나 병원에서 진단 및 진료를 받고 빠른 회복을 위해  노력하여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