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인구주택 총조사 안 하면 벌금 또는 과태료를 내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2020 인구주택 총조사는 5년마다 시행됩니다. 그 자료로 정책에 필요한 많은 일들에 쓰인답니다.
그렇다면 누가 대상인가요? 전국민이 대상인가요? 아닙니다. 인구주택 총조사는 표본조사로 국민 중 20%가 선정되어 조사를 실시합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먼저 내가 대상인지 확인하시고요! 참여 번호 모르면 참여번호 찾는 방법 사용해서 간편하게 홈페이지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회원 가입은 안 해도 되니 번거롭지 않아요. 조사에 응하지 않으면 대변으로 조사원이 방문합니다. 방문하면 더 번거로우니 간편하게 조사에 응하시기 바랍니다.
인구주택총조사 대상 참여번호 확인
인구주택 총조사는 표본조사입니다. 그러므로 전 국민이 모두 조사 대상이 아니라 표본대상으로 선정 된 가구만 조사에 응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2020 인구주택총조사 홍보 및 홈페이지에 국민��
barbiec.tistory.com
55개 문항으로 되어 있는 이 질문은 통계청에서 엄격히 비밀이 보장되고 있다고 하니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은 덜어도 될 것으로 보인다. 10/31까지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11월 1일부터 18일까지 조사원이 직접으로 와서 대변 조사를 해야 한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인구주택 총조사 홈페이지 인구주택 홈페이지에 가면 조사 답변도 할 수 있고 여러가지 관련 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오늘은 인구주택조사 홈페이지와 인구주택 총조사가 무엇인지 알아보��
barbiec.tistory.com
끝까지 조사를 거부하거나 거짓 자료를 제출 할 경우엔 통계법에 따라서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하지만 국민주 택총 조사에 불응했다고 과태료가 부과된 적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를 진단하고 정책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필요한 조사이니 기분 좋게 참여하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yL4r/btqK6BI6w5Z/XiKPg6In1li4wmdH6AFl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dNUu/btqK6grzmto/x6GzspSSmNUvT9y8VzKL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sMqFI/btqK6AJ8x9y/tMVal9l89X4mL67naRGq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otXR/btqK6grzmsM/lPUb8Cj68ikxyuOTHdXji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ZIOc/btqK6PmNcA8/Fk23TOd5ojVr0hoQtXnPs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GPpY/btqK6fe8TA1/6oNuOkFJbHRRPtcUKeHA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utB77/btqK6NvFIQF/d1DJIw37l5tbITgdFuPP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PBSh/btqK71GNFw9/BkMkWSGSJNZ2LQlqTGkF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SZJU/btqLbkZTfFS/aGSYVQGBU7OIi5h7FQvg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w5ke/btqK70ukHWD/J7pXetxDLxsgKa4ukfgm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okVLb/btqK83c1O2S/I9NWKkoKRTqVzXNECPG7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OmGe/btqK6etK5SG/rHb1e47KBCHpxegGdoYt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raboy/btqK6gkMaHm/HLsmO6qsFdbPk50t4M0b5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79Tt1/btqK7bC5BLP/bggpylt9Tgpulrv4umG04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6VD5Z/btqLbmDoLSx/m3KB04FjWQURTleb1UQd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3UHB5/btqK7cosVvQ/r6ijKuzAhi3DLdtBKoIr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9dwq2/btqK70ukHW8/wttw5P3RTebVAMyQAD6E6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z0H2B/btqK6Ai1zZK/O4E1gIDbPUDrdU2Wm0RCKK/img.jpg)
인구주택총조사란? 대한민국 영토 내의 모든 인구 주택에 대해 조사해 주요 정책의 수립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이는 중요한 국가 통계조사 중 하나입니다 인구주택총조사의 정의 우리나라의 모든 사람과 주택의 규모 및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국가기본통계조사로 UN(United Nation)의 정의에 따르면 인구주택총조사는 특정한 시점에 한 국가 또는 일정한 지역의 모든 사람, 가구, 거처와 관련된 인구 · 경제 · 사회학적 자료를 수집, 평가, 분석, 제공하는 전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인구주택총조사의 특징 1역사적이고 범세계적 통계조사입니다. 인구조사는 고대 바빌로니아(B.C. 3600년경) 시대에 기원을 두며, 근대적인 인구조사는 1790년 미국에서 최초로 실시하였습니다. 2020 라운드 센서스(2015~2024년)에는 238개 UN 회원국 중 227개국(95%)에서 인구총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2국가기본 통계조사입니다. 국가 영토 내의 사람과 거처 전체(완전성)를 대상으로, 일시(동시성)에, 각각 개별적(개별성)으로, 일정한 주기(주기성)를 갖고 실시하는 국가기본 통계조사입니다. 국가기관, 개인기업, 학술단체 및 일반 대중의 정책입안, 계획수립, 연구 및 평가 등을 포함한 각종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모든 사회분야 통계의 기준(benchmark) 통계로서, 각종 가구 표본조사의 모집단 및 표본틀로 제공됩니다. 3소지역 단위까지 통계자료가 작성됩니다. 통계자료가 읍면동 단위까지 작성 및 제공되는 조사로서, 지역 정책의 수립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됩니다.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한 소지역별 정보 제공으로 각종 공간 분석에 활용됩니다.우리나라의 총조사 연혁 우리나라의 인구조사는 삼한시대부터 시작되어 삼국시대, 고려 및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소위 호구조사(戶口調査)라는 명칭으로 실시되어 왔습니다. 근대적 의미의 인구조사인 인구총조사는 1925년에 처음으로 실시된 후, 매 5년 마다 18차례에 걸쳐 실시되어 왔으며, 주택에 관한 조사가 함께 시행된 것은 1960년 제9회 조사부터입니다. 초기의 총조사에서는 주로 인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여 왔으나 점차 조사범위가 넓어져 6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인구에 관한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특성까지도 파악될 수 있도록 조사내용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조사방법과 기술의 진전으로 1960년 총조사때부터 표본 이론이 도입되었고 동시에 자료처리에 있어서 현대적인 전산처리방식이 이용되었습니다. 2005년 총조사에서는 저출산·고령화·주거의 질 및 복지관련 항목을 강화하였으며, 2010년 총조사에서는 저탄소·녹색성장 항목을 추가하는 등 시대적 과제를 반영하여 실시되었습니다. 지난 2015년 총조사에서는 최초로 전수조사를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실시 연도별 인구주택총조사의 주요 특징 – 연도별 통계설명자료 자세히 보기( http://meta.narastat.kr ) 1925년 ~ 현재까지 총조사개요 2020. 11. 1.인구주택총조사 태블릿 PC를 활용한 전면적인 전자조사 실시 모바일조사, 전화조사 방식 도입 2015. 11. 1.인구주택총조사 전수조사를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최초 전환 표본조사 확대(10% →20%) 인터넷 조사방식 적용, ICR 방식 자료입력 조사개요보기 2010. 11. 1.인구주택총조사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인구이동, 출산력, 고령자, 주거·복지에 관한 사항) 인터넷 조사방식 확대 ICR(Intelligent Character Recognition) 자료입력 방식 도입 조사개요보기 2005. 11. 1.인구주택총조사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인구이동, 출산력, 고령자, 주거·복지에 관한 사항) 인터넷 조사방식 최초 도입 웹 기반 현지PC 자료입력 방식 도입 조사개요보기 2000. 11. 1.인구주택총조사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인구이동, 고령자, 정보화 및 일부 가구에 관한 사항) 아파트 전수조사구에 대한 응답자 기입방식 도입 PC 지방분산 자료입력 방식 도입 조사개요보기 1995. 11. 1.인구주택총조사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통근통학, 인구이동 및 일부 가구에 관한 사항) 빈집조사표를 이용한 빈집조사 실시 조사개요보기 1990. 11. 1.인구주택총조사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출산력, 인구이동, 통근통학 및 일부 가구에 관한 사항) 광학판독 자료입력 방식(OMR System) 도입 조사개요보기 1985. 11. 1.인구 및 주택센서스 전 항목 전수조사 성씨, 본관 및 종교에 관한 조사 실시 조사개요보기 1980. 11. 1.인구 및 주택센서스 15%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출산력, 인구이동) 조사개요보기 1975. 10. 1.총인구 및 주택조사 5%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출산력, 인구이동 및 일부 주택에 관한 사항) 조사개요보기 1970. 10. 1.총인구 및 주택조사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출산력, 인구이동 및 일부 주택에 관한 사항) 조사개요보기 1966. 10. 1.인구센서스 10% 표본조사 병행(경제활동 및 출산력) 조사개요보기 1960. 12. 1.인구주택 국세조사 경제활동 및 출산력 사항의 20% 표본집계 노동력 개념 설정 최초로 주택에 관한 조사 실시 조사개요보기 1955. 9. 1.간이총인구조사 가구항목 처음 조사 조사개요보기 1949. 5. 1.인구주택총조사 최초로 인구이동 사항 포함 조사개요보기 1944. 5. 1.간이국세조사 자원조사법에 의거 실시 조사개요보기 1940. 5. 1.국세조사 병역관련 항목, 3년 전 직업·산업 항목 조사 조사개요보기 1935. 10. 1.조선국세조사 상주지 항목 추가 조사 조사개요보기 1930. 10. 1.조선국세조사 최초로 직업 등 경제활동 사항 포함 조사개요보기 1925. 10. 1.간이국세조사 최초의 인구센서스
이상 인구주택총조사 안하면 벌금? 과태료 거부시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